H2 콘솔 접속 시 Whitelabel Error Page (400 Bad Request) 해결 과정 + spring boot에서 active profile 선택하기 (IntelliJ)
·
Java Study/Frameworks
Whitelabel Error Page (400 Bad Request)Spring Boot에서 DB 연결할 때 로컬 MySql만 사용해봤었는데 최근에 H2 DB 사용법을 배워서 적용해보고있었다. DB 연결은 잘 됐는데 H2 콘솔에 접속하자 Whitelabel Error Page가 발생했다. 빌드 콘솔에 에러가 안보여서 구글링 해보니 대부분 설정 파일 오타 문제를 해결한 과정이 검색됐다.설정 파일을 몇번이나 확인하고 설정도 추가해봤지만 변하는게 없어서 H2 버전도 다운그레이드 하고 이것저것,,,, 했지만 안됨😱 그러다가 Gradle 싱크 맞추는 아이콘이 떠서 싱크 맞추고 h2 콘솔에 재접속 해봤더니 에러 메세지가 바뀌었다.해당 에러는 JwtFilter에서 토큰을 검증할 때 토큰이 없는 경우 반환되도록 설..
H2 데이터베이스 설치 방법 | Server / In-memory / Embedded Mode❔
·
Java Study/Frameworks
내장형 H2 데이터베이스를 모드에 따라 설정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 H2 DB 사용 방식 3가지Server Mode직접 엔진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애플리케이션과 상관 없는 외부에서 DB 엔진이 구동된다.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 외부에 저장되므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해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다.In-memory Mode엔진을 설치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내부의 엔진을 사용하는 방식`build.gradle` 및 `application.properties` 설정을 통해 실행 가능하다.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DB 엔진이 함께 실행되고,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면 DB 엔진이 함께 종료된다.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의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면 데이터가 사라진다.Embedded Mode엔진을..